탱자나무의 효능

 

학명: Poncirus tritoliata Rat.

분류: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낙엽관목.

원산지: 중국

분포: 한국, 중국

크기: 3~4m.

 

키는 3~4m 정도 자라며,

가지에는 굵은 가시가 발달하여 무성하며 능 각이져 약간 납작하고 짙은 녹색이다.

가시는 길이 3~5cm로서 굵고 어긋난다.

묵은 줄기는 잿빛으로 되고 세로로 불규칙하게 튼다.

줄기와 가지 곳곳에 커다랗고 뾰족한 가시들이 달려있다.

 

잎은 어긋나며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약 25mm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혁질이고 길이 3~6cm이다.

끝은 둔하거나 약간 들어가고 밑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으로 꽃이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2개가 달린다.

꽃자루가 없고 지름은 1.8~3cm이며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5개씩 떨어진다.

수술은 많고 1개의 씨방에 털이 빽빽이 난다.

보통 귤나무 보다 1개월 정도 먼저 핀다.

 

열매는 9~10월에 장과로서 둥글고 노랗게 익는데,

귤과 비슷하고 향기가 좋으나 생으로 먹지 못하며 겉에는 털이 많이 나 있다.

종자는 10여개가 들어 있으며 달걀 모양이다.

 

 

탱자나무의 효능

 

덜 익은 열매를 2~3조각으로 잘라 말린 것을 지실(枳實),

열매 껍질을 말린것은 지각(枳殼)이라 하여 건위제, 이뇨제로 쓰는데

지각은 관장제(寬腸劑)로, 지실은 습진 치료제로 사용한다.

 

남쪽 지방에서는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고 감귤의 대목(臺木)으로도 심는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아주 오래전에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독특한 가시 때문에 생울타리로 대접받는 탱자나무

 

강심작용, 혈압상승작용, 이뇨작용, 흉협통, 복부팽만, 소화불량, 위하수, 위학장증,

자궁하수, 탈항, 복부창만, 심장쇠약, 쇼크, 잦은트림, 흉복창만, 흉비(胸痺), 비통(痺痛),

담벽(痰癖), 수종(水腫), 식적(食積), 변비, 치통, 소아종기, 풍진으로 인한 가려움증,

소아 경기로 인한 구토 및 경풍, 직장탈항, 대변하혈, 장풍출혈, 설사,

오적육취(五積六聚), 복통을 치료하는 탱자 나무.

 

 

탱자나무의 효능

 

▶ 탱자인, 지실 및 지각을 법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중약대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 지실 포제(炮製)

 

1. 지실(枳實):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에 담가서 8할가량 수분을 흡수하면 꺼낸다.

가운데의 단단한 심이 없어질 때까지 적셔지면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2. 초지실(炒枳實):

가열한 냄비에 밀기울을 골고루 뿌리고 연기가 나기 시작하면 지실 자른것을 넣는다.

약간 항색이 될 때까지 휘저으면서 볶은 다음 체로 쳐서 밀기울을 골라 낸 후 식힌다.

지실 자른것 60kg에 대하여 밀기울은 6kg을 사용한다.

 

 

지각포제(炮製)

 

1. 지각(枳殼): 양(瓤:

외씨양과 핵을 제거하고 즉 속을 파내고

씻어서 물에 조금 담갔다가 손으로 구부릴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워 지면

건져내어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2. 초지각(炒枳殼):

밀기울을 가열한 냄비 안에 뿌리고 노릇하게 그을면 지각 자른 것을 넣고

연한 황색이 될때까지 볶은 다음 꺼내어 체로 쳐서 밀기울을 제거하고 식힌다.

지각 자른것 50kg에 대하여 밀기울 5kg을 쓴다.

 

 

▶ 지실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없다.

 

비, 위, 심, 간경에 작용한다.

기(氣)를 파(破)하고 비(痞: 뱃속이 결리거나 체하거나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흩어지게 하며,

담적(痰積)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흉복 창만, 흉비(胸痞), 비통(痞痛), 담벽(痰癖), 수종(水腫), 식적(食積), 변비,

위하수, 자궁 하수, 탈항을 치료한다.

 

하루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약을 쓸때는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볶아서 뜨거울때 환부에 붙인다.

 

주의사항: 비위가 허약한 사람 및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1. <입학입문>: 허약하고 만성 증세가 있는 사람은 응용해서는 안 된다.

 

2. <본초비요>: 임산부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응용해서는 안된다.

 

3. <득백본초>: 진원(眞元: 신장)에 중대한 장애가 있는 사람,

사기(邪氣)가 실(實)하지 않은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된다.

 

 

지각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없다.

 

폐, 비, 간, 위, 대장경에 작용한다.

 

기(氣)를 파(破)하고 행담(行痰), 소적(消積)하는 효능이 있다.

흉격담체(胸膈痰滯: 가슴이 담열:痰熱이 막혀 있는 경우), 흉비(胸痞), 협창(脇脹),

식적(食積), 트림, 구토, 하리후중(下痢後重), 탈항, 자궁탈수를 치료한다.

 

하루 3.75~11g(대량으로 쓰는 경우에는 19~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달인물로 씻거나 뜨겁게 볶은 것을 환부에 붙인다.

 

'나무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의 효능&[밤꽃의 효능]  (0) 2013.06.23
다래나무(Bower Actinidia)의 효능  (0) 2013.06.19
개비자나무의 효능  (0) 2013.06.12
개암나무의 효능  (0) 2013.06.03
두충나무의 효능  (0) 2013.05.27
Posted by 153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