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암나무의 효능

 

학명: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분류: 쌍떡잎 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낙엽활엽 관목.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헤이룽강

다른이름: 산백과(山白果), 깨금, 처낭 이라고도 한다.

서식: 산기슭 양지쪽에서 잘 자라며 높이: 2~3m이다.

새가지에 선모(腺毛)가 있다.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개암나무는 우리나라 특산으로,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개암나무의 열매는 한자로는 진자(榛子), 산반율(山反栗)이라 하여,

옛날 흉년의 먹거리로 개암이 빠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개암나무의 효능

 

높이 2~3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인데 겉에는 자줏빛 무늬,

뒷면에는 잔털이 나고 가장 자리에는 뚜렸하지 않으나

깊이 패어 들어간 부분과 잔 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나비는 5~12cm이고 잎자루 길이는 1~2cm이다.

 

꽃은 단성화로 3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2~5개가 가지 끝에서 축 늘어지며 수꽃은 포 안에 1개씩 들어 있다.

수술은 8개이며, 암꽃이삭은 달걀모양이며,

10여 개의 암술대가 겉으로 나온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견과이고 넓은 총포에 쌓인다.

지름 1.5~3cm이며, 9~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도토리 깍정이 처럼 열매 아래쪽이 총포(總苞)에 감싸여 있다.

 

열매인 개암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으며

날것으로 먹으면 밤맛이 나고,

개암의 즙에 쌀을 갈아 넣어서 죽으로 먹기도 하는데,

이 죽을 개암죽, 또는 진자죽이라고 한다.

 

 

개암나무의 효능

 

한방에서는,

 열매를 가을에 따서 햇볕에 말린 것을 진자(榛子)라고 하며!

이는 단백질과 지방이 많아 기력(氣力)을 돕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사용하며 종자는 날것으로 먹는다.

또 신체허약, 식욕부진, 눈의 피로, 현기증 등에 처방단다.

 

정월대보름에는 부스럼 깨는 과실중의 하나로 썼으며,

북부 지방에서는 결혼 초야에 신방의 등불을 개암나무 기름으로 켜서

액귀를 예방하였다고 합니다.

 

※ 주요성분은

지방산, quercet in계 배당체이며,

 

효능은, 눈을 밝게하고 강장약 및 식용으로 사용하고,

식용으로는 열매를 생식하거나 삶거나 구워서 먹었으며,

개암사탕, 개암장, 개암죽 등으로 이용 하였으며,

기름으로는 식용유나 등유로 사용하고 열매를 약용으로 썼으며

영양이 풍부하여 기력증진 및 자양 강장제로 이용하였습니다.

 

 

민간요법 처방

 

1. 강장보호(腔腸保護):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2. 건비위(建脾胃):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3. 명목(明目):

씨 껍질을 알맹이 20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0일 정도 생식한다.

 

4. 보신(補身):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5. 비위허약(脾胃虛弱):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6. 식욕부진(食慾不振):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10일정도 복용한다.

 

7. 체력보강(體力補强):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g을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0일 이상 복용한다.

 

8. 허약체질(虛弱體質):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개암 나무의 전설

 

얼굴이 너무나 아름다웠던 공주가

자신의 얼굴이 흉하게 된 다음 탄식을 하다가 죽었는데,

공주의 무덤에서 난 나무가 바로! 개암 나무이고!

 

흉하게 된 얼굴을 감추기 위해!

2장의 굳은 껍질 속에 자기 얼굴을 감추고 있는 것이

 

바로!

개암나무의 열매라는 전설이 있다.

 

'나무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의 효능&[밤꽃의 효능]  (0) 2013.06.23
다래나무(Bower Actinidia)의 효능  (0) 2013.06.19
개비자나무의 효능  (0) 2013.06.12
탱자나무의 효능  (0) 2013.06.04
두충나무의 효능  (0) 2013.05.27
Posted by 153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