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비자나무의 효능
학명: Cephalotaxus koreana
분류: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주목목 주목과
형태: 상록침엽관목
분포: 한국 중부이남, 동부아시아, 히말라야
꽃색깔: 수꽃(연한갈색), 암꽃(연한녹색)
크기: 3~6m.
자생지: 산지
적응력이 넓으며 특히 그늘에서 잘 자라는 비자나무는
토질은 비교적 가리지 않으나 습기가 있는 비옥한 양토나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높이 3~6m 정도로 자라며 수피는 짙은 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며 벗겨진다.
잎은 우상으로 2줄로 배열한다.
잎몸은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의 주맥이 양면에 도드라 진다.
뒷면에 2줄로 된 숨구멍 줄이 있으며,
잎자루는 없고 비자나무에 비해 부드러워 쉽게 휘어진다.
개비자나무의 효능
암수 딴그루로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20~30개씩 모여 달리고,
암꽃은 가지 끝에서 2송이씩 달려 10여개의 뾰족한 녹색포로 싸인다.
타원형 열매는 다음해 8~9월에 붉게 익는다.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침엽관목이다.
추위와 공해에 강해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음지에서 잘 자란다.
국외로는 동부아시아와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
개비자나무의 효능
※ 목재는 기구재로, 종자는 기름을 채취하여 식용, 등유용으로 사용하며,
열매는 맥주의 안주로 쓰인다.
※ 종자를 粗榧(조비)라 하며 약용한다.
1. 성분: aldaloid 를 함유하고 있다.
2. 약효: 食積(식적)을 치료하며 회충을 구제한다.
식적이라 함은 한방에서 먹은 음식물이 잘 소화되지 않고 뭉친 증상을 이르는 말!
3. 용법/용량: 15~21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잘 볶아서 복용한다.
1. 종자를 구충 및 식체의 치료에 사용하며,
최근에는 잎에서 추출한 총 알카로이드 분획을 림프육종,
식도암, 폐암 등의 치료 사용한다.
2. 종기, 악창, 옴, 버짐 등에 효력을 보인다.
3. 무릎과 다리가 아픈것을 치료한다.
※ 약리: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 개비자나무와 비자나무의 구별법!
개비자나무와 비자나무는 잎의 모양이 매우 비슷하다.
구별은 손바닥을 펴서,
잎의 끝 부분을 눌러 보았을때 딱딱하여 찌르는 감이 있으면 비자나무,
반대로 찌르지 않고 부드러우면 개비자 나무이다.
개비자나무는 비자나무에 비해 잎의 길이가 길며,
잎의 앞면에 중앙맥이 튀어 나오는 특징이 있다.
비자나무는 잎 뒷면 주맥만 튀어나오지만,
개비자나무는 잎 양면의 주맥이 모두 튀어나와 있다.
'나무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의 효능&[밤꽃의 효능] (0) | 2013.06.23 |
---|---|
다래나무(Bower Actinidia)의 효능 (0) | 2013.06.19 |
탱자나무의 효능 (0) | 2013.06.04 |
개암나무의 효능 (0) | 2013.06.03 |
두충나무의 효능 (0) | 201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