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선나무의 효능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분류: 물푸레 나무과
원산지: 한국
꽃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서식장소: 볕이 잘드는 산기슭
개화기: 3~4월
높이 1.5m에 달하고 수형으로 우산모양을 이룬다.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 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뿌리는 개나리의 뿌리와 비슷하다.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길이 3~8cm, 폭 0.5~3.0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쯤 되며 위쪽에 홈이 패여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이고 잎 뒷면에 가는 털이 난다.
개화기는 3~4월로 전년에 형성되었던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백색 또는 도홍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총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치고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 들며
넓은 예저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중간쪽에 2개가 들어 있으며 반달 모양이다.
미선나무의 효능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 들며
넓은 예저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중간쪽에 2개가 들어 있으며 반달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미선나무는
유럽 및 일본에 건너가 아름다운 정원수로 평가박고 있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꽃꽃이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선녀라는 꽃말에 어울리 듯!
여인들이 여망하는 미백, 주름을 개선하는 효능, 피부를 활성화 하는 효능,
그리고 현대인의 골칫거리인 아토피에도 탁월한 치료 효능 물질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음료, 특산품 개발을 하고 있다.
미선나무!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1속1종의 특산 및 희귀 식물로,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다.
1919년 충북 진천군 초평면에서 처음 발견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 식물2급 및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제 173호)로 지정돼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 자생지가 모두 5곳이 있고
이 가운데 충북 괴산군 (제 147호, 제 220호, 제221호)은
장연면 송덕리와 추점리, 칠성면 율지리 등 3곳을 보유한
미선나무 자생지의 보고(寶庫)다.
특산식물은 세계어디에도 없는 우리나라 고유식물이기 때문에
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이때문에 외국인들도 오래 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특산식물을 자원으로 이용할 권리가 우리에게 잇는것처럼,
특산식물을 보전할 책임도 우리에게 있다.
우리나라에서 멸종하면 지구상에서 멸종하는 셈이기 때문에 그 책임은 막중하다!
미선나무
옛 역사극의 궁중 연회 장면을 보면 귓불을 맞 붙여놓은것 같은,
커다란 부채를 해 가리개 처럼, 들고 있는 장면이 흔히 나온다.
이름하여 미선(尾扇)이다.
대나무를 얇게 펴서 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물들인 한지를 붙인것으로
궁중의 가례나 의식에 사용되던 물건의 하나이다.
나무이름을 처음 붙일때 열매 모양이 마치 미선 같다하여 미선나무가 되었다.
꽃이지고 처음 달릴때는 '뭐 그저 그런' 파란 열매이지만,
열매가 익어가면서 차츰 연분홍 빛으로 변해 가는 모습은
작고 귀여운 공주의 시녀들이 들고 있는 진짜 미선을 보는것 같다.
미선나무는 20세기 초 일본인들이 한반도의 자생식물을 조사할때 처음 발견 되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나무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일본에도 같이 자라지만,
이 나무는 오직 우리나라에만 있다.
물푸레 나무과(科)는 비교적 자손이 많은 대종가이다.
이들 중 미선나무속(屬)이란 가계의 하나를 차지하고 있지만
어쩐 일인지 다른 종(腫)의 형제는 두지 못하고 대대로 외아들 하나로 이어오고 있다.
그래서 종이 우리나라에만 자라는 경우는 더러 있어도
미선나무처럼 속 전체가 세계의 아무 곳에도 없고,
오직 우리 강산에만 자라는 경우는 흔치않다.
이런 점으로도 관련 전 공학자들은 물론 우리모두 크나큰 관심을 가지게 된다.
미선나무
자라는 지역은 충북의 괴산과 영동, 전북 부안 등 중남부지방에 한정된다.
이름이 알려지고 유명해져 사람들이 여기저기 심어도
기후나 땅을 별로 가리지 않는 것으로 보아
처음부터 어느 지방에만 자라는 까다로운 나무는 아닌것 같다.
우리가 알수없는 이유 때문에
차츰 한반도의 구석으로 밀려나서 간신히 생명을 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사람과 인연을 맺고 살아가게 되었으니 적어도 대가 끊길 염려는 없어졌다.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로
가지가 아래로 늘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키는 1m를 겨우 넘긴다.
매화, 목련, 생강나무 등 부지런한 봄꽃들은 향연이 거의 끝나갈 즈음,
깜박 늦잠에서 깨어난 듯 가느다랗고 엉성해 보이는
작은 갈색의 가지에 잎보다 먼저 꽃망울을 달기 시작한다.
꽃이나 잎 모양이 개나리를 너무닮아 영어 이름은 아예 흰 개나리라고 할 정도로 비슷하다.
그러나 노란꽃이 아니라 새하얀 꽃이 개나리와는 달리 크기도 작으며,
피는 시기도 더 빨라 분명히 다른 집안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여러개의 꽃들이 작은 방망이 처럼 이어서 달리고,
네 갈래의 꽃잎은 노란 꽃술을 스쳐가는 꽃샘바람이라도 막아주려는 듯
하얀 날개를 살짝 펄치고 있는 모습이 너무 정겹다.
뿐만이 아니라 따사로운 햇볕에 묻어나오는 은은한 향기는 봄 아지랑이로 피어올라
우리의 코끝을 스쳐갈때 초봄의 상쾌함을 느끼게 한다.
하얀 꽃으로 대표되는 미선나무 외에도 분홍빛을 띤 분홍미선
맑고 연한 노란빛의 상아미선 빛의각도에 따라 색깔이 달리 나타나는 푸른미선 등
몇가지 품종도 귀중한 만큼이나 나무에 신비러움을 더하게 한다.
자연적으로 충북괴산과 영동, 전북 부안 등이
집단서식지 중에서 4곡이나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니
작은 나무치고는 파격적인 대접을 받고 있는 셈이다.
'나무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나무의 효능 (0) | 2013.06.28 |
---|---|
노간주나무의 효능 (0) | 2013.06.26 |
밤나무의 효능&[밤꽃의 효능] (0) | 2013.06.23 |
다래나무(Bower Actinidia)의 효능 (0) | 2013.06.19 |
개비자나무의 효능 (0) | 201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