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름덩굴의 효능

 

학명: Akebia quinata (Thunb.) Decne.

분류: 쌍떡잎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 낙엽덩굴식물.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이명: 으름, 목통

서식: 산과 들

크기: 5m.

 

우리나라 전국 산지와 들에서 자라는 으름덩굴은 크기 5m이며,

덩굴성으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가지는 갈색으로 털이없다.

 

 

으름덩굴 잎

 

잎은 새 가지에서 어긋아지만 늙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며

5~6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잔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 모양으로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없다.

 

 

으름덩굴의 꽃

 

꽃은 한마무에 암꽃과 수꽃이 다른 모양으로 섞여 따로피는 암수 그루이며,

 

4~5월에 적갈색의 꽃이 잎겨드랑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수꽃은 작고 많으며 6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의 흔적만 있고 3개의 꽃덮이 조각을 가지고 있다.

 

꽃잎이 없고 꽃잎같아 보이는 3개의 꽃받침 잎을 가진 암꽃은

크고 3~6개의 심피로 구성되며 그 수가 적게 달린다.

 

 

으름덩굴의 열매

 

10월에 장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6~10cm이고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익으면 세로로 길게 벌어진다.

2~4개씩 붙어 아래로 매달리며,

그 과육이 달고, 바나나와 비슷해서 가을 산의 바나나로 불린다.

 

 

으름덩굴의 효능

 

으름 새순과 어린 줄기는 나물로 먹었고,

열매는 생으로 식용하며

향기가 좋은 꽃은 말려두었다가 향낭에 넣어 향수를 대신 했다.

줄기는 삶은 물은 노란색이나 황갈색의 염료로도 이용했다.

 

약용으로는 한방에서는 줄기를 통초라 하여,

소염성 이뇨제, 소변통, 요도염, 이후통, 정신신경안정제 등으로 이용했고,

뿌리 껍질은 목통이라 하여 배뇨장애를 치료하는 데에 이용했다.

 

열매는 연복자라 하여 이뇨제, 중풍,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이용했다.

덩굴로는 바구리를 만든다.

 

 

으름덩굴의 효능

 

봄과 가을에 줄기를 잘라 잎 가지를 잘라내고 껍질을 벗긴 뒤

토막내어 그늘에 말려 약재로 쓴다. 익은 열매도 약용한다.

 

동물실험에 의하면 뚜렷한 이뇨와 강심작용이 있으며,

약리 실험에서는 이뇨와 강심은 물론 혈압을 높이고

부스럼과 염증을 없애며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시험관에서 적리균, 장티푸스균, 병원사상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발견했다.

임상적 관찰에서는 으름덩굴 줄기를 1회에 60g이상 과량 복용하면

신장 기능의 장애를 일어날수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임산부는 약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한다.

 

신장염으로 인하여 몸이 붓는 경우, 임산부의 부종, 심장병으로 역시 몸이 붓는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몸이 푸석푸석 붓는 증세에,

이 약재를 달여 마시면 부종이 가라앉아 정상으로 돌아온다.

 

그밖에 요도염, 방광염, 모유 부족, 월경불순, 소변곤란, 수면불량,

열이나고 가슴이 답답할 경우에 줄기와 열매를 함께 달임 약으로 쓰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울화증이 생겼을때 이 열매를 날로 씹으면 얺짠았던 기분이 풀린다.

 

'열매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사나무(열매)의 효능  (0) 2013.07.05
커피나무(열매)의 효능  (0) 2013.07.02
[뽕나무] 오디(Mulberry)의 효능  (0) 2013.06.22
치자의 효능  (0) 2013.06.17
자두의 효능&(자두나무)  (0) 2013.06.14
Posted by 153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