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蓮) 열매, 알츠하이머형 치매 예방

 

학명: Nelumbo nucitera

분류: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원산지: 아시아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서식 장소: 연못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 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 자리가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 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개이다.

꽃턱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종자가 꽃턱의 구멍에 들어 있다.

종자의 수명은 길고 2천년 묵은 종자가 발아한 예가 있다.

품종은 일반적으로 대륜, 소륜으로 나눈다.

 

 

연꽃(뿌리,열매)의 효능

 

잎을 수렴제,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민간에서는 오줌싸게 치료에 이용한다.

땅속줄기는 연근(蓮根)이라고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생체나 그 밖의 요리에 많이 이용한다.

뿌리 줄기와 열매는 약용으로 하고 부인병에 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늪이나 못에서 재배하는 다년생 수초,

땅속줄기는 굵고 짧으며, 수염 뿌리는 많다.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둥근 말 발굽 모양, 뒷면은 검은 자주색,

지름 5cm, 8~15장, 꽃받침은 녹색 4장, 긴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수술은 다수,

꽃밥은 노란색 자방은 상위, 다심피, 열매는삭과 둥근모양이며,

떨어지지 않는 꽃받침에 싸여있다.

 

 

연꽃(열매)의 효능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연자육은 저수지에서 많이볼수있는 연꽃의 종자로서,

비장의 기능을 튼튼히 하고 신장에 기를 더하여 정기를 견고히 하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주로 비장이 허약한 증상에 많이 사용되며,

정액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나오는 증상을 치료하고,

가슴이 마구 뛰고 불면증의 증상을 치료한다.

 

 

연꽃(열매)의 효능

 

연잎과 연열매인 연자육 그리고 연뿌리

연밥은 성질이 평하고 차며 맛이달고 독이 없다.

기력을 돕고 병을 낫게하며 오장을 보하고 갈증과 이질을 멎게 하며,

정신을 좋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많이 먹으면 기쁘게 한다.

12경맥의 기혈을 보한다.

현대와 같이 스트레스가 많은 시대의 요약이 된다.

하엽은 갈증을 멎게 하고 태반을 나오게 하며 어혈을 제거해 준다.

연근은 토혈을 멎게 하고 어혈을 삭힌다.

혈열이 있어 코피가 나는 경우에 활용한다.

 

 

연꽃(열매)의 효능

 

북한에서 펴낸<동의처방대전> 보양처방편에서는,

연밥 및 가시연밥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연밥(연자: 蓮子),

8~9월에 검고 딴딴한 여문씨를 받아 햇볕에 말린다.

물에 불리어 양쪽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을 앏게 썬 다음 껍질을 버리고 쓰는데

이것을 연육이라고 한다.

이것을 다시 물에 불리어 볶은 속껍질을 벗기고 푸른싹을 없앤다.

약에 넣을 때에는 쪄서 볕에 말리거나 불에 말려 가루낸다.

"중기를 보하고 신을 보하며 기운이 나게하고 허열을 없애며 심을 자양하고 안신한다.

설사, 두통, 흐린오줌, 이슬, 붕루 등에 쓴다."

 

 

연(蓮) 열매, 알츠하이머형 치매 예방

 

국립 생물자원관은,

덜익은 연(蓮) 열매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것으로 확인됐다고 2013년 2월7일 밝혔다.

 

생물자원관이 강원대 마충제 교수팀과 함께 약물을 이용해

실험용 쥐의 지각능력을 떨어뜨린 다음,

연 열매 추출물을 먹였더니 지각능력이 다시 좋아졌다.

 

실험은 지름 1m 가량의 시험장에 쥐를 집어넣고 목적지 까지,

얼마나 빨리, 짧은 거리를 통해 돌아가는지 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결과 -

연 열매 추출물을 먹인쥐가 그렇지 않은 쥐보다 목적지를 잘 찿았다.

덜 익은 열매가 완전히 익은 열매보다 효과가 컸다.

특히 시중에 판매되는 치매 치료제를 먹인 쥐보다 지각능력이 더빨리 회복됐고,

연 열매 추출물을 적게 먹여도 효과가 잘 나타났다.

 

연 열매는 그동안 쓸모가 없어서 버려지고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토대로 바이오산업 소재로 활용할수 있게 됐다고,

생물자원관은 설명했다.

 

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방법과 성과에 대해 국내외에 특허를 출원했다.

[ 연합뉴스: 2013년. 2월. 7일.]

 

 

Posted by 153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