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을 예방하는 방법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뇌혈관질환,

그 중에서도 중풍이다.

암으로 죽는 사람보다 중풍으로 죽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 중풍 발병률이 높다.

 

이것은 온도가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액이 응고되기 쉬워,

혈액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기 때문이다.

날씨가 추워지면 동맥 경화증이 있거나,

혈압이 높거나 혈관이 약해져 있는 사람은 혈관이 터질 염려가 많다.

 

고혈압 환자가 아니더라도 날씨가 추워지면

혈압이 조금씩 높아지므로 유의해야 한다.

 

 

중풍을 예방하는 방법

 

중풍을 조심해야 하는 사람,

동의 보감에서는 뚱뚱한 사람이 중풍에 걸리기 쉽다고 하였다.

뚱뚱한 사람은 기혈이 제대로 순환하기 어려워,

쉽게 울체되어 중풍에 걸릴 위험이 그만큼 높다.

 

중풍은 대개 50세가 넘어서 생기지만,

요즘에는 젊은 사람 중에도 중풍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몸이 비대하여 겉으로는 튼튼하게 보이지만 속이 허약한 사람들 한테 중풍이 오기 쉽다.

 

중풍에 잘 걸리는 사람은 살이 찌고 목이 짧고 얼굴이 불그스레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이 뒷목이 뻣뻣하고 숨이 차면서 몸이 뻐근하고 무겁게 느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중풍이 올 징조라고 보고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비만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혈압이 높은 사람은 중풍에 걸리기 쉽고,

혈압이 높지 않더라도 혈관이 약하면 중풍에 걸리기 쉽다.

당뇨병도 혈액을 탁하게 하고 혈관을 약하게 하여 중풍에 잘 걸리게 한다.

 

혈압도 높지 않고 뚱뚱하지 않으면 당뇨병도 없으며,

나이도 많지 않은데 중풍에 걸리는 사람이 있다.

이런사람 중에는 심장판막증이나 심근경색증 같은 심장질병이 있는 경우가 많다.

 

 

중풍을 예방하는 방법

 

# 중풍을 예방하는 섭생법과 생활수칙을 간단히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 감자와 고구마를 많이 먹는다.

감자와 고구마에는 중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포타슘" 성분이 들어 있다.

"포타슘"은 칼슘의 한 종류로 토마토, 곶감, 시금치, 근대, 귤 같은

야채나 과일에 많이 들어 있다.

"포타슘"은 몸 안에 있는 소금이 빨리 배설되게 하여,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

 

둘째 = 가벼운 운동이 좋다.

하루에 30분 정도 걷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등산을 하는 등 가벼운 운동을 한다.

그러나 숨이 찰 정도의 심하 운동을 15분 이상 지속하는 것은 좋지 않다.

운동을 하면서도 10분 간격으로 휴식을 하고,

가능하면 새벽에는 운동을 하지 않는것이 좋다.

 

셋째 = 냉온욕을 피한다.

혈액이 지나치게 묽어지면 뇌로 올라가는 혈류가 약해져서

뇌출혈에 걸릴 위험이 오히려 높아진다.

흔히 냉온욕이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혈압이 높거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는 사람 한테는 몹시 위험하다.

 

넷째 = 특히 오전에는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중풍은 오후보다는 오전에 발생하기 쉽다.

특히 혈전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뇌경색은

상당수가 오전 8시~10시 사이에 일어 난다.

그러므로 오전에 화를 내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찬 공기 갑자기 노출되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

 

 

중풍의 전조 증상

 

1. 손발이 저리거나 힘이 없어진다.(특히 엄지와 검지가 더 저리다.)

2. 말이 어눌해 지거나 뒷목이 뻣뻣해 진다.

3. 얼굴이 자주 붉어지며 열이 위로 솟구쳐 올라오는 듯한 느낌이 온다.

4.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 자주 생긴다.(특히 아침에 일어났을때 머리가 아프다.)

5. 어지러우며 속이 메스껍다.

6. 사물이 두개로 보이거나 눈이 침침하다.

7. 귀에서 소리가 난다.

8. 눈꺼풀이 자주 떨린다.

9. 얼굴이 마비되는 듯한 느낌이 들때가 있다.

10. 눈이 충혈되고 눈의 혈관이 터진다.

(눈의 혈관가 뇌혈관의 상태가 비슷하므로

특히, 눈이 쉽게 충혈되는 사람은 중풍을 조심해야 한다.)

 

# 중풍은 뚜렷한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신의 몸을 세심하게 관찰하여 몸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대처하여

중풍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중풍의 응급처치

 

1. 마음과 몸을 편안하게 안전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상반신을 높게 해서 심장보다 머리를 높여주고 뇌앞이 올라가지 않게 한다.

 

3. 옆으로 눕게하여 구토를 하더라도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게 한다.

4.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가 바로 되게 하여 숨이 막히지 않게 한다.

 

5. 열이 심할때에는 알코올이나 찬물을 수건에 적셔서 이마나  앞가슴 등을 닦아준다.

6. 열 손가락 끝을 모두 따 주는것도 좋다.

 

7. 그런 다음에 천마 생즙을 갈아서 먹이거나,

떫은 감 즙을 먹이거나,

생 무를 즙을 내어 먹이거나 하는 등의 응급조치를 한다.

8. 중풍으로 쓰러지면 한시라도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발병한지 오래 될수록 치료가 어렵고 회복된다고 해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쉽게 할수있는 중풍 치료법

 

활석, 율무, 산사를 이용한 치료법,

활석700g을 물로 씻어 말려서 콩알 정도 크기로 부스러 뜨린 다음 가루를 낸다.

그것을 다시 물 속에 더 갈아 고운체로 친다.

 

물속에서 가는 것을 수비(水飛)한다고 하는데,

전통 한의학에서 광물성 약재를 가루 낼 때 쓰는 방법이다.

 

광물성 약재는 직접 몸 안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이온 상태로 흡수 되는데,

입자가 가늘어 질수록 표면적이 넓어 져서 많은 이온이 방출된다.

 

활석은 흔히 말하는 차돌을 가리킨다.

차돌은 열을 내리고 막힌 기혈을 뚫어 주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 다음 율무 50g을 볶아서 가루내고 산사 말린것 250g을 곱게 가루 낸다.

산사는 심장병과 동맥경화, 고혈압 같은 심장 혈관계의 매우 좋은 효과가 있는 약이다.

 

# 위의 세 가지 가루를 한데 섞어 고운체로 친다.

이렇게 만든 약가루를 한번에 5~6g씩 하루 세번 밥 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이약을 먹기 시작하면 대개 2~3일 만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60일 가랑 지나면 없어지고 마비가 천천히 물리기 시작하여 차츰 완전하게 회복된다.

특히, 뇌 혈전증 후유증으로 인하여 기억력이 없어지고,

정신 상태가 흐려진 것을 좋게 하는데 효과가 뛰어나다.

70퍼센트 정도 호전 되거나 치유 된다.

 

 

Posted by 153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