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 상의 앞쪽을 기준으로
1열에는 : 조과(造果), 과일
2열에는 : 채(菜), 나물류
3열에는 : 탕(湯)
4열에는 : 자(炙), 전(煎)
5열에는 : 반(飯), 갱(羹)을 놓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1열 : 시접, 자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송편을 올림
2열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3열 :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
4열 : 좌포우혜 :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5열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곳감 순으로 놓음
또는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남좌여우 : 남자는 좌측에,여자는 우측에 모시는 것이 원칙이다.
차례상 유의점 :
1.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 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2.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는다.
3.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
차례지내는 순서
▶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이 올라감
▶ 차례는 제사에 비해 절차가 간소함
※ 차례지내는 순서
1.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 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
2. 참신 : 기제사와 같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헌주 : 술을 제주가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4. 삽지정저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다.
5. 시립 :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는다.
6. 사신 : 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다면 덮는다.
일동이 2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7. 철상, 음복 :
기제사와 같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